영모문
종류 | 유형문화재
종목 | 군 보호문화재
지극한 효자 김백렬 기린 사당
남해사람들은 남해읍 시내를 통과하여 서면방면과 상주방면이 서로 엇갈리는 곳을 효자문 삼거리라 부른다. 이 효자문거리 오른쪽에 작은 기와집이 보인다. 효자 김백렬(1873~1917)의 존영을 모셔 놓고 있는 영모문이다. '효자문'이라고도 부른다.
효자 김백렬은 1873년 6월 24일 남해군 서변리에서 태어나 어린시절부터 매사에 지극한 성격과 사리분별로 범절이 비상하여 이웃동네에 이르기까지 칭송을 받았다. 김백렬은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글 읽기를 좋아하였다. 평소에 성훈을 받들어 스스로 실천함에 있어 한치의 소홀함도 없었고 지극한 정성으로 부모를 섬겨 효자로 칭송이 자자했다.
혹 부모가 병상에 계시면 반드시 자기가 손수 약을 달여서 먼저 맛을 보고 난 뒤에 올려 지성으로 완쾌토록 하였으며, 밤에도 비상시를 대비하여 평상복을 입은 채 잤다고 한다. 새벽 닭이 울면 일어나서 어버이께 문안드리며 하루의 일을 부모님과 의논하고 승낙을 받아서 했다. 또 부모가 출타하여 안계실때는 아무리 먼 곳이라도 비바람을 무릅쓰고 제시간에 직접 가서 모셔왔으며, 집안 뜰에 어버이 계실 별당을 지어 깨끗이 단장하고 꽃향기가 풍기게 하여 항상 즐겁게 해 드렸다고 한다.
경상도 관찰사 황철이 1909년에 비단에 '금남선배효자 김백렬씨'라고 자필로 써서 표창했고, 남해군에서도 10여 차례 표창을 했다. 1925년 10월, 영모문을 준공하고 조선말 우의정 윤용구의 글씨로 현판했다.
남해군 문화관광과 문화재팀